해외 주식 미국 주식 세금 신고 방법과 절약 방법
1) 해외주식 양도 소득세란?
2) 2가지 세금 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
3) 해외주식 세금 절약법
4) 해외주식 세금 신고방법
국내주식하다가 더이상 답이 없어서 해외주식과 ETF를 조금씩 매수 하고 있습니다.
7월부터 해외주식을 시작하게되었고 그렇게 3개월만에 40만원 수익 실현을 해서
매도하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해외주식 미국 주식 양도 소득세는 얼마가 되는지?
절약법이 있다면 어떤 방법이 있는지?
세금은 언제 어디서 신고하는지 알아보다가 이렇게 포스팅 까지 이어지게 되었답니다.
해외주식 양도 소득세란?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는 해외주식을 팔아
번 이익이 일정 금액을 넘어가게 괴면 내야 하는 세금입니다.
주식을 매도하고 얻은 수익에 대해 과세가 이루어집니다.
그런데 해외주식 세금에는 양도 소득세와 배당소득세 2가지로 나뉘게 되는데,
양도소득세는 해외주식을 매도하여 얻은 이익이며
면세한도로는 250만원입니다.
배당소득세는 해외주식에서 발생하는 배당금에 대한 세금으로
15,4% 의 세율을 내게 됩니다.
해외주식 양도소득세와 양도소득세율 계산법
1월1일 부터 12월 31일까지 주식을 팔고 생긴 연간 수익을 기준으로 세금을 매깁니다.
250만원이하 세금을 내지 않고
250만원 초과 22% (양도세20% + 지방소득세2%)의 세금을 내야합니다.
해외주식 양도 소득세는 손실과 이익을 합친 손익 통산으로 세금을 매깁니다.
예를들어 해외주식 테슬라를 1년 동안 900만원의 이익을 받았는데
코카콜라 주식으로 300만원 손해를 보셨다면 순이익은 600만웝입니다.
여기서 250만원은 공제되고 남은 350만원만 22% 세율이 적용됨으로 77만원을 세금으로 내야합니다.
배당소득세와 배당 소득세율 계산법
회사 주식을 보유하면 해당 회사에서 주기적으로 이익을 나누어 주는게 배당입니다.
배당금에 대한 세금을 배당 소득세라고합니다.
배당소득세는 내가 투자한 나라에도 내야하지만
우리나라에 내야할 때도 있습니다.
해외에 내는 배당소득세는 나라마다 다르고
미국은 15% 중국은 10% 일본은 15.315% 홍콩은 0%입니다.
우리나라에 내는 배당소득세는 해외에서 배당소득세를 냈더라도
현지세율이 우리나라 배당소득세율 15.4%보다 낮으면 차액만큼 우리나라에 내야합니다.
해외주식 세금 절약법
해외주식 세금을 아끼는 방법은
연간 수익 250만원 이하로 매도하는 방법입니다.
해외주식은 연간 수익 250만원까지 양도소득세를 내지 않으니
매년 수익을 250만원 이하로 관리하면세금을 아낄수 있습니다,.
팔고싶은 주식을 한꺼번에 팔지 않고 나눠서 팔면 절세 할수 있습니다.
이자 +배당소득 2000만원이하로
관리하는게 좋겠습니다.
해외주식 세금 신고방법
저처럼 1년동안 250만원 이하의 수익을 얻었다면
세금을 내지 않기 때문에 신고를 하지 않더라도 가산세를
낸다거나 세무상 불이익을 받지 않습니다.
그런데
연간수익250만원 초과라면
홈텍스에서 1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 해외주식 거래에대해 다음해 5월에 신고하야합니다.
신고서에는 주식종목과 매수/매도날짜 자격과 주식수를 써야합니다.
10월 1일 어제 하락장을 맞이하면서
좀더 큰 하락장이 오면 매수하려고합니다.
250만원 정도의 수익이 나려면 더 많은 주식공부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슬라 ETF ACE 테슬라밸류체인액티브 주가 구성종목과 전망 (1) | 2025.01.04 |
---|---|
네이버 미래에셋 cma 통장을 생활비통장으로 사용해보세 (4) | 2024.08.20 |
금리높은적금 이자높은적금 카카오뱅크 26주적금 주부재태크 7.00% (0) | 2022.11.01 |
서베이링크 앱테크 부수입알아보시면 추천 수익인증 광고아님 (1) | 2022.10.31 |
댓글